본문 바로가기
창업하려면 이건 알아야

16. 스마트팜 창업을 위한 기술요소

by tacofriend 2025. 2. 18.

1. 시스템 기획 및 설계

✅ 목표 설정

  • 어떤 작물을 재배할지 결정
  • 자동화할 요소(온도, 습도, 조도, 토양 수분, CO₂ 농도 등) 결정
  • 데이터 수집 및 원격 제어 여부

✅ 시스템 아키텍처 구성

  • 센서 → 컨트롤러 → 서버 → 사용자 인터페이스(UI) 구조 설계
  • 클라우드 서버 또는 로컬 서버 선택

스마트팜

2. 하드웨어 구성

✅ 주요 센서 선택

센서 종류 기능 추천 모델
온습도 센서 온도, 습도 측정 DHT22, SHT31
토양 수분 센서 토양의 수분 상태 감지 FC-28, Capacitive Soil Moisture Sensor
조도 센서 빛의 양 측정 BH1750, TSL2561
CO₂ 센서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MH-Z19
pH 센서 수경재배 시 중요 Gravity pH Sensor

✅ 컨트롤러 선택

  • 아두이노(Arduino) → 단순한 시스템, DIY용
  • 라즈베리파이(Raspberry Pi) → 카메라 연동, 네트워크 연결 필요할 때
  • ESP32/ESP8266 → Wi-Fi 연결 및 원격 제어

✅ 액추에이터(제어 장치)

  • 물 공급 → 펌프 + 릴레이 모듈
  • 온습도 조절 → 팬, 히터
  • 조도 조절 → LED 조명

3. 소프트웨어 개발

✅ 마이크로컨트롤러 프로그래밍

  • 아두이노 IDE (C/C++)
  • Micropython (ESP32, Raspberry Pi Pico)

✅ 데이터 수집 및 처리

  • 센서 데이터 읽기 → 서버로 전송 → 데이터 저장/분석
  • 로컬 데이터 저장: SQLite, CSV 파일
  • 클라우드 사용: Firebase, AWS IoT, Google Cloud

✅ 원격 제어 및 UI 개발

  • 모바일 앱: MIT App Inventor, Flutter, Android Studio
  • 웹 대시보드: Node.js, Django + React, Grafana
  • MQTT 프로토콜: Mosquitto MQTT 브로커 (ESP32와 클라우드 연결)

4. 테스트 및 배포

  • 센서 값이 정확한지 보정
  • 자동화 로직(예: 특정 습도 이하에서 물 공급) 확인
  • 원격 제어 동작 테스트

5. 추가 고도화 (AI, 데이터 분석)

  • 온도/습도 예측 모델 적용 (머신러닝 활용)
  • 영상 분석 (작물 성장 상태 감지)
  • 에너지 최적화 (전력 소비 줄이기)